안녕하세요 서초센터 김해관 입니다.
Dell Server Teaming을 구성하며 정리해 보았습니다.
1. Dell 공식 홈페이지 http://www.dell.com 에서 각 서버에 맞는 드라이버를 다운 받아야 합니다.

Teaming 구성을 위한 Broadcom Advanced Control Suite (BACS) 어플리케이션을 하기와 같이 다운 받습니다.


BACS 설치전엔 .Net Framework 4.0 이 설치 되어 있는지 먼저 확인이 필요합니다.
추가로 BACS 설치와 .Net Framework 4.0 설치에는 재부팅이 필요하지 않았습니다.
(제거시에는 재부팅이 필요합니다.)
2.BACS 설치를 진행 하도록 하겠습니다. 설치는 기본설치로 진행 하겠습니다.

설치 후 프로그램-> Broadcom->BroadcomAdvancedControlSuote 경로에서 실행합니다.

상기와 같이 설정되지 않은 4개의 어뎁터들이 보입니다. 어뎁터 모델명뒤 #숫자 부분을 잘 확인 하여 Teaming 구성을 할
어뎁터를 구분하여야 합니다.
저는 #37번 과 #40번의 어뎁터를 티밍 구성 하였습니다.

Teams 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통하여 Create Team 구성을 진행 합니다.

상기와 같이 사용할 Team의 이름을 지정합니다.

어떠한 타입의 Team 을 설정할지 지정합니다.
Teaming 구성을 위하여 Smart Load Balancing(Tm) and Failover(SLB)를 설정하였습니다.

어떠한 어뎁터를 사용하여 Team 구성을 할지 설정하는 부분입니다.
저는 #37번과 #40 어뎁터를 이용하여 Team 구성을 할 예정이므로 #37과 #40을 Add 하였습니다.
우측 부분은 현재 어뎁터의 상태를 표시하여주는 부분입니다.


Active/Standby 설정을 진행 할 지 설정하는 부분입니다.
상단 Do not configure a standby member 를 선택 하실경우 Active/Active 구성이되며
하단에 Standby Member를 지정하여 주면 그 어뎁터가 Standby 어뎁터가 됩니다.
저는 Active/Standby 구성을 진행 하였습니다.

링크를 구성할지 설정하는 부분입니다.

VLAN 역시 사용하지 않으므로 Skip 하였습니다.

상기와 같이 Teaming 구성을 마치게 되면 약 30초간 순단이 발생한후 Teaming 구성이 완료 됩니다.

상기와 같이 Team1 어뎁터가 새로 생성된 부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
Active 라인을 제거 하여 Ping Lose 를 확인하였을시 1개의 Ping이 빠지는 부분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.

상기와 같이 Primary Adapters 가 Not Active 로 바뀌었으며
Standby Adapters가 Active로 바뀐 부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Active Line을 다시 연결 하였을시 Ping Lose 는 없으며
약 1분뒤 하기와 같이 Basp State 에서 Active 로 바뀌는 부분을 확인 할 수있습니다.

이상으로 Fail over Test 까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